[일반생물학] 적응도의 의미
사람은 형제, 자매, 아저씨, 아주머니, 조카, 조카딸 같은 대가족의 개념을 어렵지 않게 이해한다. 이 대가족은 다른 동물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사회구성의 일반적 형태이며, 대가족의 구성원은 영토 방어, 포식자 회피, 먹이찾기, 그리고 자녀 양육과 같은 일을 함께 돕는다. 만일 어떤 행도이 수행하는 개체 자신의 적응도를 높여줄 때만 선호된다면, 행동을 수행하는 자신의 자손 수를 증가시키지 못하면서 오히려 수행자가 치르는 비용이 다른 개체에게 혜택을 주는 이타행동처럼 보이는 사회행동의 진화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개체의 적응도는 자손을 가짐으로써 증가하는데, 이는 자손이 부모의 유전자를 다음 세대로 전해주기 때문이다. 자손을 생산함으로써 얻어지는 적응도를 직접적응도라고 한다. 하지만 개체의 유전..
2021.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