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조작적 조건화2

[심리학] 이상행동에 대한 관점 및 접근법 이상행동은 역사 이전에 인간이 존재하면서부터 있었다고 추측된다. 고대 원시사회에서는 정신장애를 초자연적인 힘으로 생긴 것으로 보았다. 이상행동을 보이는 사람들을 신의 특별한 계시를 받았다거나 저주받았다고 여기거나 귀신에 씌었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별자리나 월식의 영향으로 또는 별똥별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상행동이 생긴다고 보기도 하고, 다른 사람이 저주해서 생긴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이를 고치는 방법으로 귀신 달래는 굿을 한다든가, 귀신을 쫓는 의례를 시행하기도 했다. 이상행동에 대한 견해를 귀신론 또는 초자연적인 견해라고 한다. 고대에는 이 같은 견해가 지배적이었으나, 기원전 4세기경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는 정신장애를 혈액이나 담즙과 같은 체액의 불균형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의 견해가 이상행동에 대한 .. 2022. 6. 13.
[심리학] 스키너의 실험 스키너는 엄격한 생동 주의자였고, 학습심리학의 역사상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연구자 중 한 사람일 것이다. 그는 뛰어난 연구자인 동시에 작가이며 사상가였다. 또한 그는 컴퓨터가 발달하기 전인 1930~1940년대에 이미 여러 가지 기계 부품과 타이머를 사용하여 스스로 실험 장치를 제작하는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 일반인은 아마도 가설을 세우고 그것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된 일련의 실험함으로써 과학이 진보된다고 생각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스키너는 약 240cm의 통로에서 먹이를 강화물로 사용하여 쥐를 달리게 하였다. 한참의 실험 후 그는 지쳐 버렸다. 왜냐하면 시행마다 목표 상자에 들어간 쥐를 출발 상자로 되돌려 놓아야 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그는 원형 통로를 만들어 부착.. 2022. 6.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