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homo sapiens2

[일반생물학] 신생대 신생대 초기(65.6백만 년 전)까지 대륙의 위치는 현재의 위치에 더욱 가까워지고 있었지만, 인도 아대륙은 여전히 아시아와 떨어져 있었고, 대서양은 훨씬 좁았다. 신생대는 포유류의 광범위한 방산으로 규정되지만, 다른 동물 그룹 역시 중요한 변화를 겪고 있었다. 꽃식물은 광범위하게 다양해져 가장 추운 지역을 제외하고는 전 세계 삼림을 우점하게 됐다. 추운 지역의 삼림은 주로 겉씨식물로 구성되었다. 하나의 식물 그룹(콩과)에서 나타난 두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이들은 질소고정세균의 몇몇 종과 공생하으로써 대기 중 질소를 직접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공생의 진화는 최초의 '녹색혁명'이었고 육상식물 생장에 이용할 수 있는 질소의 양을 급격히 증가시켰다. 이들 사이의 공생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것.. 2022. 1. 22.
[일반생물학] 이명법 오늘날 널리 이용되고 있는 생물분류체계는 스웨덴 생물학자인 린네(Carolus Linnaeus)에 의해 1700년대 중반에 개발되었다. 린네는 이명법(binomial nomenclature)이라는 명명체계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전 세계의 과학자들은 동일한 이름으로 동일한 생물을 명확하게 언급할 수 있게 되었다. 린네는 각 종에 두 단어로 구성된 학명을 부여하였는데, 그 중 한 단어는 종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 종이 속한 속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속(genus: 복수형 genera)은 근연관계에 있는 종들의 그룹이다. 처음으로 종명을 제안한 분류학자의 이름이 학명의 맨 뒤에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Homo sapiens Linnaeus는 현생 인류를 나타내는 종명이다... 2022. 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