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심리학] 지각과정

by swh0z 2022. 5. 29.
반응형

약 2400년 전에 플라톤은 우리가 마음을 가지고 감각을 통하여 대상을 지각한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앞 절에서 살펴본 것처럼 우리의 머릿속에 세상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환경의 물리적 에너지를 탐지하여 신경 정보로 부호화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전통적으로 감각이라 한다. 그리고 우리는 감각을 선택하고 조직화하고 해석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전통적으로 지각이라고 한다. 우리는 빛, 소리, 맛, 냄새 등을 느낄 뿐만 아니라 지각해야 한다. 우리는 단순히 여러 음과 박자를 혼합하여 듣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울음소리, 자동차 소리 또는 교향곡을 듣는다. 간단히 이야기하면, 우리는 의미가 파악되지 않은 감각을 의미 있는 지각으로 변환시킨다.

1. 선택적 주의

우리는 순간순간마다 지각하며, 하나를 지각할 때는 이전의 지각은 사라진다. 네가 커 튜브를 오랫동안 보고 있으면 여러 가지 방향으로 지각됨을 알 수 있다. 이 그림은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지만 한순간에는 한 가지로만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의 의식적 주의가 선택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선택적 주의는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모든 것 중에서 한순간에 의식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글을 읽는 동안 주변의 새소리를 의식하지 못한다. 의식적으로 새소리에 주의를 돌리면 그제야 의식할 수 있다. 선택적 주의의 극적인 예는 칵테일파티 효과다. 칵테일파티에서 수많은 목소리가 시끄럽게 떠들어 대지만 당신은 얘기하고 있는 사람의 목소리만 선별하여 들을 수 있다. 많은 양의 시각 자극이 주어져도 우리는 처리하기 위한 자극으로 단지 조금만 선택할 수 있다. 울린 나이서, 베클런과 서봄은 사람들에게 검은 옷을 입은 세 사람이 농구를 하는 것과 흰옷을 입은 세 사람이 농구를 하는 것의 두 가지 장면이 겹친 1분짜리 비디오테이프를 보여 주었다. 그들은 관찰자에게 검은 옷을 입은 사람이 공을 패스하면 키를 누르라고 지시하였다. 비디오 상영 중간에 우산을 쓴 젊은 여인이 스크린을 가로질러 걸어갔다. 대부분의 관찰자가 검은 옷을 입은 경기자들에게 그들의 주의를 기울였기 때문에 여인이 지나가는 것을 보지 못하였다. 연구자가 그들에게 테이프를 다시 보여 주었을 때 관찰자들은 그녀를 보고 놀랐다. 우리가 알아차리지 못한 자극들도 우리에게 영향을 주는가? 실제로 영향을 준다는 실험 결과가 있다. 한 실험에서 어떤 학생이 헤드폰을 통해서 한쪽 귀로 시를 낭송하는 것을 들었다. 그들의 과제는 그 시를 소리 내어 따라 읽고 쓰인 것과 동일한지를 검사하는 것이었다. 그사이에 단순하고 새로운 소리를 다른 쪽 귀에 들려주었다. 그 소리는 역하자극이 아니어서 그는 그 소리를 쉽게 들을 수 있었다. 그러나 그들의 주의는 선택적으로 시에 쏠려 있었기 때문에 그 소리를 의식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나중에 이 소리를 다른 시들 사이에 들려주어도 그들은, 사람들이 자기가 주의를 주지 않은 대화를 회상할 수 없는 것처럼 알아차리지 못하였다. 그런데도 각 소리 중에서 어떤 것이 좋은지를 평정하라고 하면 그들은 이전에 들었던 소리를 선택하였다. 그들은 의식적으로 기억할 수는 없었지만 주의받지 못한 그 정보를 처음 듣는 정보보다 더 선호하였음을 보여준다. 또 다른 실험에서는 청자에게 '우리는 은행 옆에 서 있었다.' 와 같은 소리를 한쪽 귀에 들려주고 주의를 기울이게 하였다. 이때 강이나 돈과 같은 관련 단어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귀에 동시에 주어지면 청자는 그 단어들을 의식적으로 지각하지는 못하였지만 모호한 문장을 관련 단어의 의미와 연관 지어 해석하였다. 따라서 지각은 주의를 필요로 하지만 주의가 주어지지 않은 자극들도 때때로 미묘한 효과를 주는 것 같다.

2. 지각적 착각

우리는 일단 어떤 자극에 주의하고 나면 어떻게 그것을 의미 있는 지 각체로 구성하는가? 착각은 우리의 감각을 조직화하고 해석하는 정상적인 방법을 밝혀 주기 때문에 아직도 관심을 끌고 있다. 비행기 조종사나 선장 그리고 자동차 운전자는 다양한 시계에서 주변을 지각한다. 그들의 지각이나 반응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그 결과는 대참사로 이어지기도 한다. 거리에 대한 판단을 알아보기 위하여 심리학자인 로스는 헐 대학의 잔디에 흰 원판들을 세워놓고 거리를 판단하게 하였다. 그 결과 아침에 안개가 낀 상태에서 거리를 판단하는 경우가 정오의 햇살 아래서 판단하는 것보다 더 먼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것은 우리가 거리를 어떻게 판단한다는 것인가?

3. 지각적 조직화

감각자극을 의미 있는 지 각체로 변환시키기 위해서 우리는 그것들을 조직화해야 한다. 우리는 대상을 배경에서 분리해야 하고, 그것을 의미 있고 일정한 형태를 가진 것으로 파악하여 그 거리와 움직임을 판단해야 하는 것이다. 뇌가 지각하는 원리를 이해하면 착각이 왜 발생하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20세기 초에 일단의 독일 심리학자들은 어떻게 마음이 감각을 지각으로 조직화하는가에 관심을 가졌다. 감각질이 주어지면 사람들은 그것들을 조직화하여 게슈탈트를 구성한다. 게슈탈트는 독일어로 형태나 전체를 의미한다. 게슈탈트 심리학자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여러 가지 예를 제시하였다. 게슈탈트 심리학자들은 '전체는 부분의 합 이상이다.'라고 말하기를 좋아한다. 부식성 금속인 나트륨과 유독가스인 염소를 조합하면 먹을 수 있는 소금과 같은 전혀 다른 물질이 생겨난다. 마찬가지로 대상의 구성요소로부터 고유한 지각된 전체가 출현한다. 지각은 감각이 단순히 모인 것 이상의 어떤 것이 있다. 게슈탈트 심리학자들은 여러 가지 사례를 이용해서 우리가 감각을 조직하여 지각하는 원리를 제안하였다. 우리의 뇌는 세상에 대한 정보를 단순히 저장하는 일보다 더 많은 일을 한다. 지각은 단순히 창을 열어서 영상이 대뇌로 전달되도록 하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감각 정보를 여과하고 우리에게 의미 있는 방향으로 지각적 추론한다. 시각적 특징을 완전한 형태로 구성하려는 경향성은 입력 자극의 감각적 분석에서 시작되는 상향 처리와 이러한 감각질을 해석하기 위하여 경험과 기대를 사용하는 하향처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게슈탈트의 원리에는 마음이 해석한다는 명백한 예들이 많이 있다. 감각과 지각은 하나의 연속적인 처리로 혼합되어 있으며, 특정한 탐지 세포에서 얻은 상향적 정보와 경험을 통해서 가지고 있는 하향적 정보가 혼합된 것이다.

2022.05.28 - [심리학] - [심리학] 감각과정

 

[심리학] 감각과정

우리의 감각 체계는 환경의 에너지에 대응하여 빛, 소리, 맛과 같은 주관적인 감각을 일으킨다. 이 절에서는 각 감각 체계에 의해서 어떻게 이러한 감각이 발생하는가를 고찰한

earning-present.com

 

반응형

댓글